미 연준의 금리 전망: 미 채권을 내다파는 각국의 강 달러 방어하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이메일
- 기타 앱
미국의 자이언트 스텝의 강 달러 정책이 미국 경제에 이익만 될 것인가? 세계 각국의 강 달러 방어 차원의 미국 국채 내다팔기에 강 달러 기조에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1. 금리를 인하할 때도 달러가 강세일 때도 있다, 경기 둔화로 갈 때 금리인하 하여도 달러가 강세일 때가 있고, 경기 침체일 때 금리인하 하여도 달러 강세일 때가 있다. 경기 둔화일 때 금리를 인하 하여도 달러가 약세가 되고, 경기 침체일 때 금리를 인상하여도 달러가 약세일 때가 있다.
2. 미국은 왜 강 달러를 선택하였을까? 달러 강세를 선택한 것은 용인이라면 용인인고 유도라면 유도인데 강 달러를 선택한 것은 명목상 물가잡기 최우선 적으로 인플레이션 잡기 였는데, 이면 블록체인이나 중국 위안화의 달러에 도전하는 세력들의 패권 위력의 지위를 확인과 물가 잡는데 강 달러가 유리 다른 자원 동원하는 것 보다 강 달러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3. 미국의 지속되고 있는 금리인상의 역효과와 금융시장 불안, 주변국들 금리 방어 등을 고려해 고금리 강달러만이 인플레이션 잡기의 해결책이라 볼 수 없게 됐다. 고 환율로 물가안정을 유도해 보려는 미국의 의지로 만들어진 상황이라는 것이다. 미 연준에서 한달 전 까지만 해도 "고금리는 국익에 부합한다. 펀드 멘탈 대로 움직이고 있다고 생각 한다" 라고 하였다.
4. 물가를 잡기 위해 유인이던 용인이던 물가잡기 이면에 달러가 강세로 가면 유가는 하락, 원자재 가격은 하락하는 것이 일반 경제원리 인데, 달러가 강세로 가면 유가도 공급이 타이트 하지만 내려갈 것으로 판단 했지만 작년부터 계속해서 강세로 올렸지만 달러에 의해서 하락 했다 기보다 지정학적 리스크 요인과 사우디의 증감산으로 원유, 원자재 값이 강 달러 요인 외의 영향으로도 움직이며 변화되고 있다는 견해다. 물론 아직까지 달러와의 석유, 원유가격의 변화와 역의 관계가 있지만 다른 요인들에 의해서 등락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5. 미국이 고 환율 정책이 물가를 잡는데 유리하기만 한가 아닐 수도 있다는 의문이 드는데, 첫 번째: 미국이 강 달러를 약 달러로 전환할 수 있을까? 고 환율이 물가를 잡는데 유리하기만 할까? 두 번째: 달러 강세가 미국 금융안정에 네거티브라면 어떨까?, 세 번째: 미국의 기업에게는 강세가 좋을까? 약세가 좋을까? 그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주는 것은 두 번째 금융안전에 강 달러가 마이너스로 작용할 것인가, 플러스로 작용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다.
6. 자국 환율이 강세로 갈수록 자산 수익률이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즉 코스피 주가 수익률이 환율이 1,000 - >1,400 보다 1,400 - >1,000로 환율이 올라갈 때 코스피 주가 수익률이 좋은 것과 같다. 그런데 미국의 달러가 강세로 가고 금리를 인상함에도 불구하고 해외 정부에서 미국의 국채를 팔고 있다.
7. 미국채를 누가 얼마나 갖고 있는가, 해외 정부가 30%, 미국의 연준이 25%, 나머지 뮤추얼펀드나 은행들이 갖고 있다. 해외 정부가 가장 많이 갖고 있는 큰 손인데 미국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한 일본, 중국, 영, 유럽 등 아시아 국가들은 현재 최대 적자이며, 환율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 이러한 국가들은 무역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서 환율방어에 나서 외환보유액이 줄어들 때 미국 국채를 함께 팔아 미 국채 보유액이 줄어들고 있다.
8. 미 국채는 가장 환금성이 좋고 안전자산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외환보유액 안에 미국 국채를 굉장히 많이 가지고 있으며 특히 일본은 올해만 전체보유액의 17%나 감소했다. 일본의 저금리. 저 물가 양적완화 경제 상태에 금리 인상을 할 수 있다, 없다 논하고 있을 때 일본은 금리인상을 택하지 않고 미 국채를 4회에 걸쳐 환율시장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 졌다.
9. 미국 금리인상에 방어하기 위해서 세계 미 국채를 보유한 다른 나라들의 내다팔기는 미국국채 금리 인상을 불러와 미 금융시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달부터는 다른 나라들의 경제사정과 금리인상으로의 역 효과 등의 고려한 인상이 있을 것으로 연준의 매파보다 비둘기파 의견이 다수가 됐다고 알려졌으며 미국도 강 달러가 미국 경제에 유리하지만은 않다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라는 것이다.
10. 미국의 국채시장 위험은 물가잡기나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는 부분적으로 라면 금융위기는 미국 경제 전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금리인상이나 그 어떠한 요인보다 우선시 되며 묵인할 수 없는 것이다. 미국의 기업이익 해외 부분이 40%로 높고, 내수가 60% 이어서 달러 강세가 유리할 수도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그 것도 일정 부분까지 지 그 이상 인상시에는 수출기업도 너무 어렵게 된다.
11. 환율 가치가 두려울 때, 미국의 제품을 한국사람이 사줄 수 있는 양은 20% 씩 구매력이 떨어지게 되는 상황이 된다는 것이다. 미국 기업을 위해서도 강 달러가 좋기만 하지 않다는 것이며 신흥국들의 강 달러 정책에 부정적이며 수입물가도 부담스럽고 환율 손실까지 더 해저 이중 부담이 발생하는 것이 때문에 이다.
12. 비용, 우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할 때 가장 가장 적은 비용으로 해결하려 하는데 글로벌 외환보유액 일본의 경우와 전 세계 외환보유액 한 100여개국을 더한 건데 14조 달러 정도가 되는데 올해 이후에만 11%이상 줄어 들어 100만원 보유에서 약88만원 밖에 안되는 상황으로 몇달 만에 급속히 보유액이 줄었다.
13. 경기침체로 들어가면 원/달러도 사실은 다시 올라갈 거라고 생각 들고, 떨어지면 좋겠지만 미 강 달러 기세로 환율이 올라가 1,500원, 1,600원 갔다가 1,450원 저항선 위에서 굉장히 오래 머무를 것 같지는 않고, 최근에 환율이 빠르게 내려왔고 하락세가 더 이어지지 않고 이전 고점을 뚫고 올라간다고 하더라도 최근 1,300 중반의 기록은 앞으로의 환율 저항선 기대저항선에 큰 의미가 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이메일
- 기타 앱